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월급이 애매하게 모이면 일단 예적금으로 묶어두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이 과연 옳은 선택인지 고민하는 이들이 많다. 돈을 모으는 방식은 크게 저축과 투자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돈을 불리려면 투자를 권장하지만, 자산이 2천만 원 이라라면 저축이 우선이다. 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테크 전략, 먼저 추천되는 예적금 상품 청년내일 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를 정리해 보았다. 

     

    사회초년생을 위한 예적금

    1. 청년내일 저축계좌

    [가입조건] 차상위 이하(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연령 : 만 15 세 이상 ~만 39세 이하
    • 근로소득 : 월 10만 원 이상 근로, 사업 소득 발생
    • 가구소득 :기준 중위 소득 50% 이하
    • 정부지원금 : 매월 30만 원 매칭 지원

    차상위 초과(기준 중위 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연령 :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 근로소득 : 월 50만 원 초과 ~250만 원 이하의 근로, 사업소득 발생
    •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정부지원금 : 매월 10만 원 매칭 지원

    [지원내용]

    • 가입기간 : 3년
    • 본인저축액 :매월 10만 원 이상 (최대 50만 원까지 가능)
    • 정부지원금 : (차상위 이하 : 월 30만 원, 3년간 총 1,080만 원) / (차상위 초과 : 월 10만 원, 3년간 총 360만 원)
    • 추가지원금 : 생계급여 수급자, 자활근로자 등은 추가 지원금 혜택 가능
    • 필수요건 : 3년간 근로활동 지속, 자립역량교육 10시간 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테크 필수 계좌

     

     

    2.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청년
    •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 소득 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 소득의 250%에 해당하는 경우
    • 가구원은 본인과 주민 등록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 자매를 포함
    •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아야 함

    [상품개요]

    • 적립방식 : 자유적립식(만기연장 없음)
    • 납입 한도: 월 최대 70만 원(연간 최대 840만 원)
    • 계약 기간:5년
    • 금리:은행별 상이하며, 기본 금리 외에 우대 금리 적용 가능
    • 혜택:정부기여금 지원(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지급), 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

    [가입방법 및 절차]

    • 가입신청 : 주요 시중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가능
    • 가입요건 확인(약 2주 소요)
    • 가입 가능 여부 안내
    • 계좌 개설

     

    사회초년생을 위한 재테크 필수 계좌

     

    이처럼 재테크를 시작하는 청년들에게 추천할만한, 아니 꼭 개설해야 하는 두 상품에 대해 알아보았다. 급여를 받고, 스스로 삶을 책임지는 과정은 설레기도 하지만 때로는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그 순간이야말로 재테크의 기초를 다지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며, 부자가 되는 초석이 되는 길이기도 하다. 돈이 나를 지배하기 전에 내가 돈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조급해하지 말고 현명한 자산관리를 시작하여 중년에는 몸도 마음도 넉넉한 부자가 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반응형